본문 바로가기

Unity/Engine15

유니티3D 잔상효과 만들때 사용 SkinnedMeshRenderer.BakeMesh SkinnedMeshRenderer.BakeMesh 기능활용 현재 메쉬 형태를 bake하여 잔상으로 활용 GUI인스턴스 활용을위해 MeshFilter와 MeshRenderer를 사용하는잔상오브젝트를 별개로 생성하고 예시로 아래와같은 방식으로 메쉬정보를 넘겨 잔상효과를 줄수있다. Mesh mesh = new Mesh(); skinnedMeshRenderer.BakeMesh(mesh); GameObject obj = new GameObject("TrailTest"); MeshFilter mf = obj.AddComponent(); MeshRenderer mr = obj.AddComponent(); mf.mesh = mesh; 2021. 12. 22.
포스트 프로세싱 스크립트 제어(스탠다드) Vignette 의 intensity값을 스크립트로 제어하려 하는경우 using UnityEngine.Rendering.PostProcessing; PostProcessVolume pVolume; Vignette vignette; private void Awake() { pVolume = GetComponent(); pVolume.profile.TryGetSettings(out vignette); } private void Start() { vignette.intensity.value = 0.5f; } 이런방식으로 작성하면 조절가능하다. Reference https://docs.unity3d.com/Packages/com.unity.postprocessing@3.1/manual/Manipulating-t.. 2021. 12. 15.
유니티 시간제어 관련 기초 Time.timeScale 유니티 내의 시간배율을 의미하는 프로퍼티 deltatime을 기준으로 동작하는 오브젝트의 속도를제어할수있다. 사용예) Time.timeScale = 2.0f -> 2배속으로 움직이게 변경 Time.deltatime 지난 프레임이 완료되는 데 까지 걸린 시간 timeScale의 영향을받는다. Time.unscaledDeltaTime timeScale에 영향받지않는 deltatime 2021. 12. 10.